신경관이 변형되어 만들어지는 뇌

그렇다면 뇌는 어떻게 만들어질까? 뇌는 신경관의 머리 쪽에서 만들어진다. 신경관의 전신경공이 닫힌 후 신경관의 머리 쪽이 구부러지고 접혀 세 부분으로 구분된 후 커지고 신경관 벽도 두꺼워진다. 세...

신경관에서 척수가 시작되다 2

신경관의 형성 과정 중추신경계에서는 희소돌기세포가, 말초신경계에서는 슈반세포가 축삭을 수초화한다. 그래서 말초신경계는 척수백색질에서부터 시작한다. 이 과정을 함께 관찰할수 있는 영역이 척수전각이다. 희소돌기세포와 신경집세포(슈반세포)가 척수전각 운동신경세포 축삭을 감싼다. 발생 과정에서...

Information

나를
제대로 알아야
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

Lifestyle

생각하라
그리고
부자가 되어라

Travel

스스로
원하는 것을 만들고
욕망하라

더좋아진다

마음이
바라는 만큼
몸이 움직인다

인기글 보기

삼배엽 배아의 신경계 발생 2

태아 발생에서 원시선(primitive streak - prs)이 시작하는 부분이 항문이 된다. 원시선이 척삭돌기 형성 과정으로 바뀌면서 척삭돌기가 앞쪽으로 형성되면서 입인두막(oropharyngeal membrane - opm)까지 진행한다. 척삭돌기에서 신경관이 유도되고 신경관에서...

신경관에서 척수가 시작되다 2

신경관의 형성 과정 중추신경계에서는 희소돌기세포가, 말초신경계에서는 슈반세포가 축삭을 수초화한다. 그래서 말초신경계는 척수백색질에서부터 시작한다. 이 과정을 함께 관찰할수 있는 영역이 척수전각이다. 희소돌기세포와 신경집세포(슈반세포)가 척수전각 운동신경세포 축삭을 감싼다. 발생 과정에서...

하등동물에서 인간까지 신경계가 진화하다 2

포유류 설치동물의 뇌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후각망울은 대뇌피질 측두엽 정도로 매우 크다. 하지만 인간의 후각망울은 축소되어 안와전두엽에 덮여 있다. 편도체와 중격영역은 인간에게서 상대적으로 줄어든다. 감정처리영역이 편도체와 중격영역으로 축소되고...
- Advertisement -

뇌신경으로 감각하고 움직이다

뇌신경핵은 척수와 대뇌를 연결하는 뇌간에 대부분 존재한다. 따라서 뇌신경은 대뇌피질의 각성상태를 조절하고 척수의 운동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위치다. 뇌신경은 뇌신경핵에서 출력되는 축삭다발이며 뇌신경핵은 운동성과 감각성 신경세포 그룹으로 구성된다. 12개...

Subscribe